티스토리 뷰

우선 주휴수당이란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계신가요? 우리 모두가 어딘가에 고용이 되어서 일을 하고 있지요? 게으름 피우지 않고 일정 기간을 열심히 일하면, 고용주인 사장님께서 평균 1주일당 1회 정도의 휴일을 유급으로 주어야 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주휴일이라고도 합니다. 이때 유급으로 쉬면 도대체 얼마를 받고 쉬는건지 정확히 알아야 하겠죠? 그래서 주휴수당 계산기 필요합니다.


우선 주휴수당을 받으시려면 일정 기간을 열심히 일해야 한다고 말씀드렸죠? 그 기간은 1주일 입니다. 하지만 그 기간동안 반드시 채워야 하는 근무 시간이 있습니다.

만약 A씨가 하루에 6시간씩, 월요일 부터 일요일 까지 일주일 간 개근으로 일했다면, 하루 쉬면서 받을 수 있는 수당 역시 6시간에 대한 임금이 됩니다. 그렇다면 정확한 계산은 어떻게 할까요?


사실 검색창에 주휴수당 계산기라고 입력해서 숫자만 넣으면 바로바로 알 수 있지만, 아는 것이 곧 힘! 잠깐만 이 간단한 공식을 익혀두시면 두루두루 좋지 않을까요?

위에서 예로 들었던 A씨의 경우 일주일 노동시간 6시간 × 7일 인 42시간을 40시간으로 나누고, 8시간을 곱한 후, 시급을 다시 곱해주면 유급 휴일에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산정됩니다. 

  아르바이트를 하시건, 매달 월급을 받으시건 누구에게나 해당되는 주휴수당! 월급을 받으시는 경우는 월급명세서를 꼼꼼히 살펴서 이 수당이 포함되어있는지 아닌지를 챙겨보셔야 합니다. 


일주일에 15시간을 열심히 일한 모든 노동자에게 해당하는 수당을 열심히 일하시고 떳떳하게 청구하시길 바랍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