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직장인들은 의무적으로 모두 국민연금에 가입되어있습니다. 사실, 소득이 있으면 누구나 반강제적으로 국민연금을 납부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겠습니다. 내라고 해서 내기는 하지만 이 돈이 나중에 나에게 어떤 혜택이 되어 돌아올지는 아직 실감이 나질 않습니다. 그래서 내가 받을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 방법 알아보기를 준비했습니다. 알고 내면 좀 더 저축같다는 생각이 들테니 말입니다.
사실 계산 방법이랄것도 없이 아주 간단합니다. 우선,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로 접속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입니다.
상단에 예상연금간단조회가 있습니다. 저기에 매달 납부하시는 연금을 입력하면 10년 가입의 경우 혹은 15년, 20년~ 40년까지 가입여부에 따른 노령연금 지급예상액을 간단하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가령 내고있는 연금이 매달 25만원이라고 가정하여 입력해보면,
이렇게 10년 가입일 경우 267,170원, 40년 가입일 경우 1,000,910원 이라는 금액으로 나옵니다. 가입기간에 따라서 수령하는 연금액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나의 예상연금 조회에서 예상연금 조회로 들어가시면 공인인증서로 본인확인을 거친 후에 예상연금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납부보험료 총액이란 현재 기준소득금액으로 만 60세까지 납부했을 경우 납부 보험료 총액을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그러니 소득신고금액이 적어지거나 많아지면 그것에 따라서 국민연금납부액에 줄어들거나 늘어날수있으므로 총 납부 보험료 역시 달라질 수 있습니다. 어디까지나 현재 기준소득금액에 의거한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이므로 그냥 참고만 하실수있는 수준의 자료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현재가치 예상연금액은 평균소득월액을 조회시점을 기준으로하여 산정한 것이고, 미래가치 예상연금액은 평균소득월액 상승률을 반영하여 연금액을 산정한 것입니다. 쉽게말해서 연봉이 절대 오를일 없다는 가정하에 산정한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이 현재가치 예상연금액, 현재 연봉에서 꾸준히 몇 퍼센트씩 오를것이라 예상하고 산정한 것이 미래가지 예산연금액입니다.
국민연금은 물가변동률까지 고려해서 산정되어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제대로 받을수만 있다면 국민들에게는 노후에 제법 많은 보탬이 될 시스템인것은 분명합니다.
내가받을 국민연금이 얼마나 될지를 국민연금 수령액표로 대강 알아보지 마시고,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 방법 알아보기를 통해서 정확하게 산정해시길 바랍니다.
'일상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도소득세 계산방법 정확히 알아보자 (0) | 2017.03.15 |
---|---|
개학 후 독감예방 생활 수칙 (0) | 2017.03.14 |
경력증명서 인터넷발급 방법 알아보기 (0) | 2017.03.13 |
용인 에버랜드 호암미술관 나들이 추천 (0) | 2017.03.12 |
하나 1Q 페이 혜택 알아보기 (0) | 2017.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