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아파트를 구매하고 팔면서 이런저런 세금들어갈일이 너무 많고 복잡했습니다. 그냥 내면 되지 복잡할것이 뭐가 있냐고 할수도 있지만, 사실 세금을 낼 때 내가 정확히 어떤 방식으로 매겨진 세금을 내고 있는지를 알아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중 알게된 것이 바로 양도소득세 인데요, 오늘은 양도소득세 계산방법 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부동산 양도소득세 계산방법 정확히 알아보자
사실 세금은 정말 골치아픈 종목같습니다. 특히 부동산관련하여 세금은 변경이 잦기 때문에 작년 부동산법으로 올해 똑같이 계산해서는 곤란합니다. 더군다나 부동산 양도소득세는 특히나 고가 세금이기 때문에 정확하게 알아보고 내야 하는데, 양도소득세액이 커지면 당황스러울 수 있으니 미리 계산해 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모의계산으로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양도소득세 자동계산으로 들어가시면 여러 소득세를 계산할 수 있단 걸 알수있습니다.
양도소득세 미리계산은 모의계산 값입니다. 양도가액과 취득가액을 모두 알고있는 경우 에서 1개 부동산 양도 시 계산으로 들어가보겠습니다. 이 항목 외에 나머지 모두는 로그인을 필요로 합니다.
양도물건종류에는 토지, 주택, 기타가 있는데 아파트는 기타에 해당합니다. 취득가액은 내가 아파트를 구매할 때 당시 매입가+취득세+득록세+법무사비용+취득중개수수료 모두를 합하여 산정한 것입니다. 그리고 양도가액은 내가 이 아파트를 팔 금액을 이야기 하는 것이죠.
만약 이것저것 모든 비용을 합해서 내가 4억 1690만원에 구매한 아파트를 5억에 팔 경우, 양도차익이 8310만원이 나옵니다. 이 양도차익에 따라서 세금이 매겨지는데, 단기양도의 경우 세율이 50퍼센트나 됩니다. 따라서 4030만원에 지방세 10%까지 붙어서 4433만원이 고스란히 세금으로 나가는 셈입니다.
이는 부동산 투기를 막으려는 일환으로 단기투자로 부를 축적하려는 사람들에게 차익에 대해 절반을 나라에서 세금으로 가져가버리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단기투자가 아닌 그냥 일반 거래 양도소득세 계산방법은 어떻게 될까요?
2015년 3월 15일에 집을 사서 2년을 보유하고 있다가 2017년 3월 15일에 집을 팔 경우 양도소득세가 어떻게 되는지 세액계산하기를 해봤습니다.
분명 양도소득금액은 8310만원으로 똑같은데 세율이 24%입니다. 그래서 총 양도소득세가 15,536,400원이 나왔습니다. 3천만원가까이 차이가 나죠.
절세방법은?
부동산 양도소득세를 조금이라도 아끼려면 가장 중요한 것이 지불했던 모든 자료를 증빙을 위해 남겨두는 것입니다. 취득세와 법무사비용, 집수리비용, 중개비용 등을 모두 현금영수증 처리 하시거나 혹은 세금계산서라도 꼭 받아두셔야 합니다. 이런 증빙자료가 많아야 양도소득세를 조금이라도 절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이 계산값은 일부 사항만을 검토하여 나온 값이기 때문에 신고자료나 불복자료로 이용할 수는 없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워낙 목돈이기 때문에 생각보다 너무 많은 세금이 나올 것을 대비해서 미리 한 번 산정해보는 차원에서 계산하는 것이니 참고용도로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양도소득세 계산방법 정확히 알아보자를 통해서 조금이나마 도움드렸길 바라는 마음으로 포스팅 마칩니다.
'일상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업급여 신청방법 절차 자세히 알아보기 (0) | 2017.03.17 |
---|---|
작두콩 효능 알고먹자 (0) | 2017.03.16 |
개학 후 독감예방 생활 수칙 (0) | 2017.03.14 |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 방법 알아보기 (0) | 2017.03.14 |
경력증명서 인터넷발급 방법 알아보기 (0) | 2017.03.13 |